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 책은 돈 버는 법에 관한 이야기(3. 독서내공)

3. 독서, 건강/가. 독서, 지식

by 린이가족 2023. 3. 3. 06:06

본문

반응형

이번 테마는"독서내공"이다.

 

(사실 두 번째 테마는 "장사내공"인데 내가 장사를 하는 입장이 아니다 보니 솔직히 공감하고 내가 그에 대한 생각을 적기에는 역량이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부분은 생략... 아니.. 못쓰겠다^^;;)

 

세 번째 테마인 "독서내공"은 내 생각에 가장 심혈을 기울인 부분이 아닌가 생각한다.(정답은 고명환 작가님만 알겠죠^^)

첫 글에도 남겼지만 다른 테마에도 대부분 "독서"와 연계되어 결론을 대부분 내리기 때문이다.

그리고 작가가 이렇게 성공한 배경이 "독서"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가치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으리라 생각한다.

 

마찬가지 이 글에도 그중 가장 공감하고 같이 알면 도움이 될 만한 주제를 설명하고 그에 대한 내 생각을 간단히 정리해 보겠다.

 

 


1. 내가 고전을 읽는 이유

 "내가 고전을 읽는 이유는 '세뇌당하지 않은 생각을 공유하고 싶어서'다"

 

* Think : 매우 매우 공감하는 내용이다. 다만 이전에 읽었던 책인 "사람을 얻는 지혜"에도 남겼듯이 시대적 배경이 다른 부분은 참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가끔 이런 생각을 했다. 휴대폰도, 전기 등 아무것도 없던 시대.. 불과 몇 백 년 전만 해도 대체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했을까? 뭘 했을까? 등등 궁금했던 적이 몇 번 있다.

물론 먹고살기 바빠 생계를 이어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핵심이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이렇게 편리하게 살 수 있는 것은 그분들의 "생각과 행동"으로 "무"에서 "유"를 창조했기 때문이다.

저자가 이야기한 고전은 이러한 분들의 생각과 사색, 고찰을 통해 얻어낸 결과물이므로 이 것은 내가 엄청난 시간을 투자해도 얻기 쉽지 않기에 읽는 이유로 선정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어떠한가? 물론 창조하고 생각을 통해 발전을 하기 때문에 "무어의 법칙"처럼 어마어마한 과학적인 기술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주위를 둘러보면 안타까운 경우가 있다. 바로 스마트폰으로 아무 생각 없이 SNS를 하는 경우다.

정말 객관적으로 스스로에게 물어보면... 다른 사람의 근황이 궁금해서 보는가? 아니면 트렌드를 읽기 위해서? 부러워서? 왜 그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보는 것인가? 

하더라도 조금만 보고 내 생각을 다시 주인인 나에게 돌려놔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내 생활습관 중에서 수동적으로 뇌를 사용하는 경우가 얼마나 있는지 깊게 고민해 보길 바란다.

"뇌"는 생각하고 지시한다. 그 "뇌"를 생각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누가 한 것인가? 그 "뇌"는 누구 것인가?

 

 

2. 생각의 차이가 수입의 차이를 만든다.

  "당신은 두 시간 동안 계속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이런 경험이 없는 사람과 매일 새벽 두 시간씩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둘 중 누가 돈을 더 많이 벌겠는가?

생각의 차이가 곧 수입의 차이인 것이다."

 

* Think : 결국 이번 주제도 1번 사항처럼 "생각과 독서와의 연계성"이다.

독서를 하면 할수록 지식의 수준을 향상되고, 폭도 매우 넓어진다.

독서를 하면 발전을 할 수밖에 없다.

독서를 하면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 사람이 행동을 하게 되면 성공한다.라고 나는 생각한다.

 

주제의 내용처럼 객관적으로 생각한 사람과 생각하지 않은 사람의 차이는 당연한 것이다.

생각한 사람의 질은 독서의 양과 이해도에 따라 다를 것이다. 

 

결국 "독서"가 저자가 이야기한 휘발유가 될 것이다.

 

 

3. 책 속에 확신이 있다.

 "다른 사람에게 묻지 말라. 실패했을 때 내가 100퍼센트 책임지겠다는 마음이 있어야 실패의 교훈을 오롯이 배울 수 있다.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순간 실패의 값진 교훈을 날려버리게 된다."

"책 - 아이디어 - 확신 - 실행 - 책의 선 순환의 사이클을 내 몸에 장착하자"

 

* Think : 저자가 이야기하는 핵심내용은 "주도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고 책임지고 교훈을 얻어 성공하라는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이를 위해 "독서"를 통해 성공한 이들과 생각의 방향을 같이하고 그 속에서 공감대를 형성하고 아이디어에 도움이 되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실패를 할 수도 있다. 그 실패 속에서 핑계와 변명보다 스스로 더 발전할 수 있는 교훈을 얻고 더 강해지라는 의미로 이해를 했다.

 

우리 모두 "독서" 합시다^^

 


정말 많은 주제들이 있었지만 이 중에서 3가지만 도출해 보았고, 충분히 공감 가는 내용일 것이다.

생각하고 행동하고 주도적으로 살기 위해 "독서"만큼 좋은 것은 없는 것 같다.

물론 멘토로부터, 동영상으로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본질은 "성장"으로 이해한다.

 

우리 모두 "성장" 합시다^^

 

 

오늘도 이 글에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