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알아볼 우리나라의 역사는 "신라"이다.
이전 편에 고조선과 고구려, 백제에 대해 알아보았다.
[독서] 최소한의 한국사(1. 고조선, 고구려)
어릴 적부터 역사 과목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던 나는... 나중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 아이가 나에게 역사에 대해 물어보면 부끄럽지 않을까?라는 생각과, 어쩌다 외국인과 친해졌을 때, 또
rinfamily.tistory.com
[독서] 최소한의 한국사(2. 백제)
이 전편에서 우리나라의 역사 시작인 고조선과 삼국시대의 멋쟁이 고구려를 알아보았다. [독서] 최소한의 한국사(1. 고조선, 고구려) 어릴 적부터 역사 과목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았던 나는...
rinfamily.tistory.com
1. 신라의 시조는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알에서 태어난 "박혁거세"가 신라의 역사를 시작했다고 한다.
2. 신라는 고조선이 멸망 후 한반도의 남쪽에 마한, 진한, 변한의 삼한이 있었는데 그중 진한의 소국인 사로국에서 시작된 나라이다.
3. 신라는 초기에 나라의 기틀을 잡는데 가장 늦은 나라이다. 즉, 왕을 할 사람도 없었고, 초기에 여러 사람이 돌아가며 왕위를 계승한다는 연맹왕국의 기조를 가지고 있어 국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지 못했다.
4. 그러다가 "김"씨가 왕위를 이어가기 시작했는데, "고구려"편에서 신라가 왜의 공격에 고구려에 도움을 청하여 광개토태왕이 도와줬다는 내용이 있었는데 이때 광개토태왕이 신라의 나라가 이상하여 조언해 주고 시작한 것이 "김"씨 일가가 왕위를 잇게 된 것이다.
5. 이렇게 백제와 고구려보다 늦게 시작한 신라는 주변국으로부터 이리저리 치이기만 했다.
6. 그러다 "지증왕"에 개혁을 통해 이 때 "신라"라는 국호를 사용하고 "왕"의 칭호를 사용했다고 한다.
7. "독도"도 이 때이때 이사부라는 사람이 울릉도를 점령하였고, 이때 독도도 우리나라 땅이 되었다고 한다. 꼭 기억하시길!!
8. 이후 "법흥왕"이 왕위에 오르고 국가의 기본인 율령을 도입하고 불교를 종교로 도입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9. 다만 불교는 기존의 신라에 있었던 신앙과 마찰이 있었지만 어떠한 사건으로 인해 불교를 받아들였다고 한다.
* 어떠한 사건 : 법흥왕이 이차돈을 시켜 신라인들이 신성하게 여기는 숲에 절(불교)을 지었는데, 귀족들은 이차돈을 벌해야 한다고 하여 이차돈의 목을 베니 흰 피가 솟아 꽃비가 내렸고 이를 본 귀족들은 불교를 받아들이게 되었다고 함.
10. 이후 24대 왕인 "진흥왕"은 어릴 때 왕이 되었고, 18세가 되던 해 영토확장, 즉 한강유역을 차지하기 위해 고민하던 중 백제가 힘을 합쳐 당시 한강유역을 가지고 있던 고구려를 공격하자고 하여 그렇게 하였다.
11. 결국 고구려로부터 승리하였으나 신라는 이어 백제까지 공격하여 한강유역을 확보하였다.
* 100년 정도를 백제와 동맹하였으나 이 때 깨짐.
12. 백제가 복수할 만한데 오히려 백제 성왕의 딸을 진흥왕에게 시집을 보내 시간을 벌고 이후 공격하였으나 백제는 오히려 신라에게 패배하였다. 완전 원수가 되어 버렸다.
13. 한강유역을 확보한 신라는 전성기를 시작하였고, 영토도 상당히 넓히며 그곳에 비석을 세웠다.(순수비)
14. 그러나 이후 백제와 고구려로부터 계속된 공격을 받는데 특히, 624년 백제가 신라의 수도인 경주까지 단번에 공격할 수 있는 대야성(경남 합천)으로 백제의 의자왕 시절에 공격하였고, 순식간에 대야성까지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15. 신라는 고구려에 도움을 요청하였으나 당시 고구려의 왕은 "연개소문"이였고, 고구려의 내부가 혼란스러웠고, 연개소문은 도움을 통해 한강유역을 달라고 하니 당연히 신라는 거부하게 되었다.
16. 이로 인해 신라는 중국의 "당"나라와 연합하게 되었는데 "당"나라도 고구려가 신경이 쓰였기에 대동강 이북의 땅을 내어주는 조건으로 연합하여 660년 백제를 멸망시켰고, 이어서 668년 고구려가 멸망하였다.
17. 그러나 바로 삼국통일이 된 것은 아니고, 이후 "당"나라는 신라와의 약속을 어기고 한반도 전체를 지배하기 위해 공격하였으나, 신라가 크게 2번(매소성, 기벌포 싸움) 승리하여 당의 군대를 물리쳤다.
18. 아쉬운 점은 삼국통일을 한 신라였지만 고구려가 가진 넓은 영토를 "당"나라에게 일부 잃었다는 점이 아쉽지만 결국 한반도의 삼국시대의 최종 승리국가이다.
19. 이런 것을 보면 강한 자가 승리자가 아닌, 승리자가 강한 자가 아닌가 생각된다.
20. 이러한 신라의 문화는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에서 시작하였고, 당시 경주의 인구가 수 십만에 이른다는 의견도 있는데 경주에 한 번 문화체험겸 가봐야겠다^^
다음 편은 "통일신라"이다.
* 발해와 가야라는 나라도 있었지만 생략하겠다.
오늘도 이 글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일의 감각(저자, 조수용) (0) | 2024.12.14 |
---|---|
[독서] 최소한의 한국사(4. 통일신라) (0) | 2024.04.01 |
[독서] 최소한의 한국사(2. 백제) (2) | 2024.03.21 |
[독서] 최소한의 한국사(1. 고조선, 고구려) (0) | 2024.03.20 |
[독서] 지리의 힘(2편, 미국) (5) | 2024.02.28 |
댓글 영역